체육중학교 서브비주얼

배구

  • 운동부소개
  • 배구

1. 종목소개

배구

배구는 네트를 사이에 두고 두 팀이 볼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서로 쳐서 상대방 팀의 코트에 떨어지게 하는 구기경기 이다. 발리볼이라고도 하며, 6인제와 9인제가 있으며, 한 팀은 공을 3번 접촉한 뒤에는 반드시 그물 너머로 되돌려 보내야한다. 1895년 미국의 매사추세츠주(Massachusetts) 홀리오크시(Holyoke)에 있는 YMCA(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기독교청년회) 체육부장인 윌리엄 모건(William Morgan)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서 창안하였다. 처음에는 1팀이 5명으로 이루어져 21점제로 시작되었으나, 1918년 6인제/15점제/로테이션제라는 6인제 국제규칙이 확립되었으며, 2000년 1월 1일부터는 새로운 규칙이 제정되어 국제경기가 진행된다. 1971년 무렵 YMCA를 통해, 또는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미군을 통해 유럽지역에 전해졌으며, 1916년에는 YMCA와 미국 NCAA(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대한체육협회) 가 공동으로 규정집을 발행하였다. 1922년 미국 최초의 전미배구대회가 YMCA 전미체육위원회 주최로 뉴욕시(New York) 브루클린(Brooklyn) 중앙YMCA에서 열렸다. 1920년대 중엽에는 비공식적인 전미배구위원회가 결성되었으며, 1928년 USVBA(United States Volleyball Association 미국배구협회)가 결성되어 규칙을 제정하고 경기를 관장하는 기구로 인정받았다. 1928년부터 USVBA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4년과 1945년을 제외하고는 해마다 전미남자배구선수권대회와 35세 이상이 참여하는 전미 성인 남자배구선수권 대회를 개최하였다. 여자대회는 1949년에 시작되었고 30세 이상이 참여하는 성인여자 대회는 1977년에 추가되었다. 1947년에는 15개국에 의한 FIVB(Fration Internationale de Volleyball 국제배구연맹) 이 파리에서 창설되었고, 4년에 1번씩 세계선수권대회와 월드컵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다시 1957년의 IOC(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배구가 올림픽경기대회의 정식 경기종목이 되었고, 1964년 제18회 도쿄 올림픽대회 때부터 남녀경기로 등장하였다. 배구는 1895년 미국 메사추세츠 주 홀리오크 시 YMCA의 체육주사 모르간(Morgan. W. G)에 의하여 고안되었다. 당시 농구가 청년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있었는데 모르간이 보기에는 많이 과격해 보인다고 생각 하던 중 농구보다는 좀 유연한 Ball Game의 필요성을 느껴, 흥미 있고 남녀노소가 적당한 운동으로서 함께 즐 길 수 있는 대중적인운동을 모색하다가 정구의 네트를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서 네트를 올리고 손으로 하게 되면서 지금의 배구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16년 3월 25일 YMCA 고문인 반 하트가 청년 회원들에게 소개, 12인제로 실시하였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배구 경기가 거행된 것은 1917년 3월 30일 YMCA 체육관에서 실시되었습니다. 1959년에서 1965년 까지는 6인제, 9인제가 병행되다가 1966부터 지금까지는 공식적인 대회에서는 6인제만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2. 경기에 대한 이해

1999년 9월 7~8일 스위스 로잔(Lausanne)에서 열린 FIVB(Fration Internatione de Volleyball 국제배구연맹) 경기규칙위원회에서 새롭게 경기방법과 규칙이 개정되어서 2000년 1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세계 및 국제대회와 모든 국내대회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되었다.

첫째
랠리 포인트 스코링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즉 매 랠리마다 득점을 하게 되는데, 리시브 팀이 랠리를 이겼을 때 그 팀은 한 점을 얻고 서브권을 갖게 되며, 그 팀의 경기자는 시계방향으로 한자리씩 이동한다. 과거 5세트 경기 때처럼 각 세트에서 서브미스가 있을 때 상대방이 점수를 얻게 되므로 과거의 서비스권을 가졌을 때만 점수를 얻는 방식보다 경기시간이 단축되었다. 1~4세트까지는 25점을 선취하면 이기며, 5세트에서는 15점을 선취하면 이기는데, 각 세트마다 상대팀과 2점차가 나야 하며 점수 상한은 없어졌다. 서브에서 볼이 네트에 닿고 상대방 쪽으로 넘어갈 때 경기는 계속되며, 경기를 하거나 경기를 방해할 떄를 제외하고 네트를 터치하는 것은 반칙이 아니다.
둘째
세트간 모든 휴식시간은 3분으로 정해졌다.
2-3 세트 사이의 휴식시간은 조직측 요청에 따라 권한을 가진 기구가 10분까지 연장할 수 있다. 타임아웃은 보통 경기에서 30초 동안 이루어지며, 각팀은 세트 당 2번의 타임아웃을 가진다. FIVB 및 세계 공식경기에서 모든 타임아웃은 60초 동안 이루어지고 5세트에서는 30초간이다. 1~4세트에서 각 팀은 단 한번의 타임아웃을 부를 수 있으며, 점수가 앞선 팀이 8점과 16점일 때 2번의 테크니컬 타임아웃(TTO)이 주어진다. 5세트에서 각 팀은 2회 30초 동안 타임아웃을 할 수 있으며 테크니컬 타임아웃은 없다. 과거 국제규칙에서는 시합중에 각 팀은 한 세트 중 30초씩 2번의 작전타임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리베로 선수에 대한 신설된 규칙이 있다.
각 팀은 12명 최종 선수명단에 1명의 수비전문선수 리베로 등록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리베로 선수는 후위지역 선수로만 경기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리베로는 팀 내 다른 선수들과 구별되는 색상이나 다르게 디자인한 셔츠를 입어야 한다. 과거 국제 룰에서도 5세트를 겨루었는데, 6인제인 경우 이름 그대로 각각 6명의 선수가 네트를 사이에 두고 상대하여 볼을 상대방 쪽으로 쳐 넘겨 15점을 선취하면 한 세트를 이기며 3세트를 선취하는 팀이 승리이다. 또한 14:14가 되면 2점을 먼저 리드한 팀이 이기고, 모든 세트의 상한 점수는 17점이며, 16대16 동점인 경우 1점을 리드하여 17점을 선취한 팀이 그 세트를 이긴다. 정식경기가 아닌 경우 사정에 따라 3세트 시합을 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2세트를 선취하면 이긴다. 과거 6인제 경기에서 가장 큰 특징은 직접 득점이 되는 경우와 득점이 되지 않고 서비스 권만을 얻는 경우이다. 즉 서브를 넣은 팀이 상대방 코트 내에 볼을 때려 넣어 성공하거나 상대방 선수가 반칙을 했을 때에만 득점이 되며, 공격에 성공하지 못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서브권만을 빼앗아 와서, 득점에 결부될 수 있는 서비스팀이 되었다. 배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진행된다. 서브에 의하여 넘어간 볼은 상대방의 서브리시브->토스->스파이크로 서브 측에 넘어오고, 서브한 쪽은 블로킹->리시브->토스->스파이크로 볼을 다시 넘긴다. 즉 리시브->토스->스파이크로 응수하는 반복이 전개된다. 이 사이에 여러 가지 룰이 있어서 득점이나 사이드아웃이 된다.

3. 경기 용어 및 종류

배구경기 반칙 및 용어

더블 파울(Double foul)
양팀 선수가 동시에 반칙을 했을 때를 말하며, 노 카운트(Nocount)처리되며 다시 서브가 된다.
더블 폴트(Double fault)
9인조에서 주어진 두번의 서브 기회를 모두 실패했을 경우를 말한다. 테니스와 마찬가지.
데드 볼(Dead ball)
포인트(Point), 사이드 아웃(Side out), 그 밖의 임원의 판정에 의해 일시적으로 경기가 정지된 후 다음 서브에 의해 다시 인프레이 상태가 되기까지의간격을 말한다.
듀스(Deuce)
양 팀이 동일하게 24점을 얻었을 경우를 말하며, 다시 동점 상태로부터 2점을 연속 득점하는 팀이 승리한다.
드리블(Dribble)
한 선수가 2회 연속으로 볼을 터치하는 반칙을 말하며 정식명은 더블컨택트(Double contact)이다.
디그(Dig)
상대방의 스파이크나 킬을 받아내는 리시브를 말한다.
딜레이 인 서비스(Delaying in service)
서브를 5초 이내에 하지 못했을 경우를 말하며, 서브라 함은 서브 토스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볼을 토스한 뒤 마지막 터치하는 순간을 말한다.
드레잉 더 게임(Delaying the game)
선수가 고의적으로 게임을 지연시키는 것을말한다. 이 경우 그 이유에 따라서는 테크니컬 파울(Technical foul)이 선언된다.
라인즈 맨(Lines man)
선심, 2명이나 4명이 맡게 되며 주로 서브 순서, 풋파울(Footfoul,라인을 밟는 행위), 인, 아웃을 판정한다. 주-부심의 의뢰가 있기 전에는 발언할 수 없다.
라인 크로스(Line cross)
서브나 백 어택 시 라인을 밟거나 넘는 행위를 말하며 상대방의 특권이나 득점이 된다.
레트(Let)
9인제만의 규정으로 서브가 네트인, 서포트인, 에지볼 되거나 주심의 신호전에 서브했을 경우며, 노카운트 이다.
로테이션(Rotation)
6인제 규정으로 서브권을 획득한 팀이 시계 방향으로 한자리씩 선수 자리 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리바운드(Rebound)
토스가 좋지 않을 때 상대방의 블로킹에 살짝 맞추고 다시 볼을받아 챈스 볼을 만드는 플레이
리시브(Recieve)
상대의 볼을 받는 것을 말하며, 상대 볼의 형태에 따라 서브 리시브,어택 리시브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블럭 아웃(Block out)
공격한 볼이 블로킹에 맞고 코트밖에 떨어짐
블럭 포인트(Block point)
블라킹에 의한 취득 득점
블럭 커버 = 어택 커버(Block cover,Attack cover)
상대의 블로킹에 걸려 자기편 코트로 떨어지는 볼을 받아내는 플레이
블럭 폴로(Block follow)
블록 커버와 반대로 블로킹 하는 측이 볼이 블로킹에 맞고 블로킹 측의 빈 곳에 떨어트릴 것에 대비하여 전위 지역을 커버 하는 것을 말한다.
사이드 아웃(Side out)
서브권이 상대에게 넘어가는 것을 말한다.
사이드 패스(Side pass)
허리 높이의 볼을 앞에두지 않고 옆에서 두 손을 직각으로하여 언더핸드 토스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이드 코치(Side coach)
경기장 바깥에서 경기자에게 작전 지시하는 행위를 말하며, 타임아웃(Time out)일 때만 허용
써드 스텝 어택(Third step attack)
3단 전법, 배구의 기본전법으로 리시브(Recieve) or 패스(Pass) - 토스(toss) - 킬(Kill) or 스파이크(Spike)의 3단계의 동작 을 말한다.
서비스 에이스(Service ace)
서브로 직접 득점하는 경우를 말한다.
서빙 오더(Serving order)
6명의 선수가 서브 넣는 순서를 말하며 매세트 경기 전 감독은 서빙 오더를 기록석에 제출하여야 한다.
서포터(Supporter)
국부나 관절을 보호하는 고무 보호 용구.
세터(Setter)
토스하는 사람을 말하며, 토서(Tosser)라고도 한다. 특히 우수한 세터를 토스렌(Tosren)이라고도 한다.
스매싱(Smashing)
킬(Kill)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스트레이트 킬(Straight kill)
사이드라인 쪽으로의 평행 공격
스파이커(Spiker)
스파이크를 하는 사람
슬라이딩=플라잉=세이빙(Sliding,flying,saving)
풋 스텝으로는 따라갈 수 없는 볼을 살리기 위해 몸을 날리는 기술
시간차 공격
블로킹을 따돌릴 목적으로 개인, 단체가 쓰는 일종의 입체적 높이와 시간상의 트릭 플레이
아웃 볼(Out ball)
선수가 처리한 볼이 사이드 마크 안테나나 라인 바깥으로 떨어져 아웃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아웃 오브 바운드(Out of bound)
선수가 처리한 볼이 네트의 9미터 한계 밴드 바깥쪽에 맞거나 코트 외의 각종 시설물에 터치되는 경우 사이드밴드에 맞는 경우는 세이프이다.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서브 넣는 순간 서빙 오더의 선수 배열이 흐트러 졌을 경우를 말한다. 즉, 서브 넣는 순간 전위 레프트가 전위 센터 보다 오른쪽에 있거나, 전위 선수보다 후위 선수가 앞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판정의 기준은 발의 가 장 바깥 선으로 두발 중 가장 바깥쪽의 한쪽 발만 해당된다. 나머지 발은 관계없다.
어택 에어리어(Attack area)
센터라인과 어택라인 사이의 9x3 미터의 지역을 말한다. 프론트 존(Front zone)이라고도 한다. 엄파이어 미스테이크(Umpire mistake)심판의 오해로 데드볼이 되었을 경우 심판은 양 엄지를 들어 이를 표시하고 노 카운트.
오버 타임(Over time)
한팀이 3번 이상 공을 터치하는 경우를 말하며, 포 컨택트(Four contact)라고도 한다.
원 엑스트라 스트로크(One extra stroke)
경기 중 볼이 네트에 걸려 움직이지 않을경우, 공격 팀이 한번 더 터치할 수 있다는 규정. 오버 타임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규정이다.
원 핸드 토스(One hand toss)
한손으로 토스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용어로 싱글핸드 토스(Single hand toss)라고도 한다.
인터피어(Interfere)
네트 밑으로 몸의 일부가 넘어가 상대의 플레이를 방해하는 행위.
인플레이(In play)
서브를 넣은 순간부터 심판의 호각에 의해 경기가 이시 정지될 때까지의 실제 경기 상황을 말한다.
원-파이브 시스템(One-five system)
6인제의 서브 리시브 대형 중 하나로, 전위 세터 1명을 제외한 2명의 포워드와 3명의 백이 모두 백존(Back zone)에 위치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터치 아웃(Touch out)
탑 아웃(Top out) 라고도 하며, 공격한 볼이 수비측의 몸에맞고 아웃 볼 되는 것을 말한다.
테크니컬 파울(Technical foul)
고의로 게임을 지연하거나, 또는 비신사적인 플레이를 하였을 경우의 파울을 말한다.
트릭 점프(Trick jump)
직접 공격하지 않는 선수가 상대 블라커를 흐트러뜨릴 목적으로 공격하는 척 점프하는 동작을 말한다.
패싱 더 센터라인(Passing the center line)
인 플레이 가운데 선수가 센터라인을 넘어 상대 코트를 밟았을 때를 말한다. 코트를 밟지 않고 공간만 침범하였을 경우는 상대를 방해했는지 여부에 따라 반칙과 세이프가 판정된다.
페인트(Feint)
상대방의 빈곳에 찔러 넣는 공격을 말한다. 리바운드(Rebound)전법, 퓬(Keep)전법 이라고도 한다.
푸싱(Pushing)
한손 혹은 두 손으로 볼을 잡아 밀어 넣듯이 빈 곳을 공략하는 기술을말하며, 홀딩을 범하기 쉽다.
풋웍(Foot work)
선수의 이동시 발의 스텝 기술을 말한다. 양 발을 교차하는 사이드스텝이 그 대표적인 방법이다.
풋파울(Foot foul=Foot fault)
서브 시에 볼을 토스해 올리기 전에 발이 엔드라인을 넘는 경우를 말한다. 서브 시 토스는 서브 에리어 바깥에서 이루어져도 상관없다. 실제 서브하는 터치 때의 위치가 서브 에리어 아니면 반칙이 아니다.
토스(Toss)
패스와 비슷한 의미지만 패스는 볼을 연결하는 목적에 머무르는 반면, 토스는 스파이크 하기 좋게 연결함을 말한다. 다른 말로 셋업(Set up)이라고도 한다.
포지셔널 폴트(Positional fault)
서브나 그 이외의 모든 상황에서 서빙 오더의 선수배열이 뒤 바뀌었을 때를 말한다. 서브 순서가 바뀌는 등이 그 예이다.
홀딩(Holding)
볼이 경기자의 손이나 팔에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상태를 말하며 반칙으로 처리되어 상대에게 득권이나 득점을 준다. 94년 룰개정에 의해 서브 리시브의 홀딩을 크게 완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