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용기, 도전이 있는 곳 광주체육고등학교

자전거

  • home
  • 종목소개
  • 자전거

1. 종목소개

사이클

사이클 경기는 일정한 거리를 얼마만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가를 겨루는 경기이다. 자전거가 운동수단으로써 도로경기를 가졌던 것은 1869년 프랑스 파리와 루엔을 잇는 도로경기가 처음이며, 그 후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제1회 선수권대회 이후, 올림픽에서는 제1회 아테네 올림픽 대회를 제외하고 줄곧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왔다.또한, 아시아 경기대회도 제2회 마닐라대회에서만 사이클 경기종목이 제외되고, 제3회 동경대회부터 부활되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사이클 종목은 유럽에서 발달하여 현재 160여 개국이 세계사이클연맹(UCI)의 소속 회원국으로 있다. 역대 올림픽에서 프랑스, 이태리, 네덜란드, 스위스, 구동독, 구소련 등이 강세를 나타내었으나, 최근 프랑스의 초강세 속에 호주가 새로운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아시아 경기대회는 일본의 트랙, 한국의 도로종목의 강세로 양분 되었으나 최근에는 구 소련에서 분리된 카자흐스탄의 도로, 일본의 트랙 단거리, 한국의 트랙 중장거리, 중국의 여자종목 등으로 4분화 되었다. 올림픽의 사이클 종목은 '80년 모스크바 대회까지 6~7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오다가, 84년 LA올림픽대회에서 여자 개인 도로경기, 88올림픽에서 여자 스프린트, 92년 바로셀로나 올림픽에서 여자 3km 개인추발, 96년 아틀랜타 올림픽에서는 여자 포인트 경기, 도로독주와 MTB 크로스컨트리 남, 여 종목 등 4개 종목이 추가되어 총 14개 종목으로 시행되고 있다.여기에 현재는 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올림픽스프린트, 경륜경기 매디슨 경기, 여자 500m 독주 등 4개 종목이 더 추가되어 총 18개 종목이 실시되었으며, 2008 북경올림픽에서 남자 1km 독주와 여자 500m 독주 경기가 없어지고, 남녀 BMX 경기가 추가되었다.

2. 경기에 대한 이해

현재 올림픽에서 사이클은 총 18개(남자11개, 여자7개)종목을 실시하며 그 종목은 사이클 전용경기장인 벨로드롬에서 실시하는 트랙종목과 포장된 도로에서 실시하는 도로종목, 산악코스에서 실시하는 마운틴바이크 종목, BMX 종목이 있으며 이들 종목에 따라 사용되는 자전거의 종류도 달라진다.

3. 경기의 구성 및 종류

구분 트랙경기 도로경기 MTB BMX
세부종목 스프린트종목 스프린트
단체스프린트
1km독주
(여자500m독주)
경륜
개인도로경기
도로독주경기
단체도로경기
크로스컨츄리
다운힐
BMX
중장거리 종목 개인추발
단체추발
포인트경기
메디슨
스크레치
혼합종목 옴니엄
(올림픽에 포함된
6개 종목 경기)
가. 스프린트(Sprint)
스프린트는 올림픽정식 종목으로 2∼4명씩 조 편성되어 트랙 크기가 333m 미만의 트랙은 3바퀴, 333m 또는 그 이상의 트랙에서는 2바퀴를 돌면서 선수들 간에 견제와 작전을 구사하여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하는 선수가 승자가 되는 경기로 흥미와 스릴이 넘치는 두뇌경기이다. 조 편성을 위해 200m 기록경기를 실시한다. 이 경기는 보통 1바퀴를 남겨 놓고 선수들이 전력 질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최종 200m 정도의 거리로 승부를 가름하는 경향이 많아 200m 거리의 순간속도가 빠른 선수들이 승리 할 확률이 높다.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보통 준준결승전부터 3전 2선승제로 실시된 다. 출발 위치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트랙의 안쪽(Inside)에 위치하는 선수가 첫 바퀴를 선행해야 한 다. 제2차전에서는 출발 위치가 서로 바뀌게 되며, 제3차전에서 추첨으로 출발 위치를 결정한다. 출발 위치가 서로 바뀌게 되며, 제3차전에서 추첨으로 출발 위치를 결정한다.
나. 독주경기(Time Trial)
독주경기는 경기장에서 혼자 하는 기록경기로 각 팀에서 1명씩 출전하여 출발선에서부터 전력 질주하여 남자는 1km, 여자는 500m를 완주하여 결승선을 통과한 기록을 측정하여 출전 선수의 기록 을 정리하여 가장 빠른 기록의 선수가 우승하는 경기이다. 출발 순서는 심판에 의해 결정되며, 모든 선수든 출발 대(스타팅 블록)에서 출발한다. 불루 밴드의 곡선 주로에 진입할 수 없도록 5m 간격으로 부르레를 설치한다. 부정 출발의 경우 에 선수는 즉시 재출발한다. 인정되는 사고나 불인정 되는 사고의 경우에, 선수는 약 15분 후에 재출발 한다. 선수는 2번까지 출발이 허용된다.
다. 개인추발(Individual Pursuit)
남자 : 4km 여자 : 3km 남자 주니어 : 3km 여자 주니어 : 2km개인추발 경기는 두 팀의 각 1명씩 2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트랙의 중앙에 위치한 본부석 출발선 과 반대편 출발선의 출발 대(스타팅블록)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남자는 4km, 여자는 3km를 전력 질주하면서 서로 추월을 시도하는 경기이며, 결승선(본인 출발선)에 도착한 기록이 빠른 선수가 승리하는 경기이다.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선경기는 단지 기록만을 계시한다. 예선경기에서 추월당한 선수는 상대자에게 페이스에 맞추거나 추월하여 경기를 할 수 없다. (실격) 예선경기에서 선수들의 출발점은 심판이 결정한다. 결승경기에서 한 선수가 불참할 경우 상대 선 수는 승자로 선언된다. 1, 2위전에 불참한 선수는 2위가 되며, 3,4위전에 불참한 선수는 4위로 결정된다. 단, 정당한 사유 없이 출전하지 않은 선수는 실격 처리될 것이며, 해당 순위는 공석으로 남는다. 부정출발이 있을 경우, 출발심판은 2발의 총성으로 경기를 중단한다. 이때 경기는 재출발 한다. 결승경기를 포함한 각 경기에서 사고의 경우에 오직 한 번의 재출발이 허용된다.
라. 단체추발(Team Pursuit)
1팀이 4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2팀이 출전하여 서로 상대 팀에게 추월을 시도하는 경기 종목이 다. 각 팀의 기록은 각 팀의 세 번째 선수의 앞바퀴가 결승선에 도착한 시간으로 기록을 측정한다. 각 팀의 3번째 주자의 기록을 계측하기 위해서 각 선수의 앞바퀴 축에 전자 신호 장치를 부착해 야 한다. 이 경기는 4명이 한 조가 되어 선수간의 호흡이 맞고 교대기술 능력에 따라 기록이 좋아지는 경기이다. 한 팀이 추월당하는 순간 심판은 적색기로 신호하고, 선수가 들을 수 있도록 신호해야 한다. 추월은 한 팀(적어도 3명의 주자)이 상대팀에 1m 거리 이내에 도착했을 때 성립한다. 상대팀과 충돌을 피하거나, 진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코스를 변경 못하게 하고,- 트랙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테이어 라인 위에서 타도록 지시해야 한다.심판의 지시를 위반한 팀은 즉시 실격될 수 있다. 경기는 각 팀의 세 번째 주자가 지정된 거리를 완주하여 결승선을 통과한 순간에 종료된다. 또 한, 결승에서는 한 팀(최소한 3명의 주자)이 상대팀을 추월한 순간에 종료된다.
마. 포인트경기(Point Race)
포인트 경기는 한꺼번에 24명의 선수가 출발 전, 출전 선수 그 절반은 가드레일을 잡고, 나머지 선수들은 스프린트 레일에 일렬로 서서 동시에 출발한다. 출발은 한 바퀴를 돈 후에 플라잉 스타트로 실시한다. 남자는 40km, 여자는 24km를 주행하는 가운데 250m 트랙에서는 매 10바퀴 (333m 트랙은 매 6바퀴마다)마다 스프린트를 하여, 1~4위까지 순위를 정하고 1위 5점, 2위 3 점, 3위 2점, 그리고 4위 1점을 부여한다. 또한, 메인 그룹을 한 바퀴 추월한 선수는 20점을 획득한다. 여기서 추월하려는 선수(들)가 메인 그룹의 뒤에서 고의적으로 머뭇거린다면 상황심판이나 심판장은 해당 선수(들)에게 한 바퀴를 추월한 것으로 선언하고,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메인 그룹으로부터 한 바퀴 추월당한 선수는 20점을 감점한다. 만약 경기결과 여러 명의 선수가 획득 점수까지도 동일하면 스프린트 1위 횟수가 많은 선수가 우선하며, 그래도 동점일 경우 2위 횟수 순으로 결정하며, 마지막으로는 최종 스프린트의 순위 로 등위를 가린다. 이 경기는 스프린트 바퀴에 점수를 얻기 위해 모든 출전선수가 전력질주하기 때문에 아슬아슬한 장면이 많이 연출되는데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흥미와 스릴을 만끽하게 하며, 경기내용을 정확 히 파악하여 누가 가장 점수를 많이 얻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한 순간도 경기장면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바. 경륜경기(Keirin)
이 경기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륜”이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실시되고 있다.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실시한다. 경기방식은 250m 트랙을 8바퀴(333m 트랙은 6바퀴) 주행하면서, 오토바이를 탄 유도 요원이 출전 한 선수들을 선두에서 유도하는데 여기서, 어느 선수라도 이 오토바이를 앞서게 되면 실격된다. 오토바이를 탄 유도 요원은 처음 시속 30km 속도로 출발하여 서서히 속력을 높여 시속 50km 속도 까지 속력을 증가시키다가 결승선 약 600~700m 지점에서 심판의 지시에 의해 트랙에서 퇴피해 야 한다. 이때, 선수들은 계속 경기를 진행하여 결승선에 먼저 도착하는 순서에 의해 순위가 결정되는 경기이다. 선수들은 마지막 질주 동안 상대 선수의 진로를 방해하거나, 선수를 낙차 시키려는 행위 등을 해 서는 안 되고, 결승선까지 자기 주로를 유지하여야 한다.
사. 단체스프린트(Team Sprint)
단체 스프린트는 2000년 호주 시드니올림픽에서 처음 채택된 경기종목이다. 경기방식은 각 팀 3 명의 선수로 구성하여 두 팀이 트랙 중앙의 본부석 출발선과 반대편 출발선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트랙을 3바퀴를 주행하는 경기로 매 바퀴마다 선행선수가 트랙을 내려오고 마지막 바퀴에는 1 명의 선수가 결승선에 도착하는 기록에 의해 순위를 정하는 경기이다. 트랙의 안쪽에 위치한 선수는 스타팅 블록에 의해 지탱된다. 즉, 첫 바퀴에서는 3명의 선수가 경기를 하고 두 번째 바퀴에 서는 2명의 선수, 그리고 마지막 바퀴에는 1명의 선수가 남아서 경기를 한다. 여기서 선두주자는 한 바퀴를 선행한 후 트랙의 바깥쪽으로 올라가 상대 팀을 방해하지 않게 트랙 밑으로 퇴피하고, 마지막 주자는 마지막 바퀴를 혼자 주파해야 한다. 기록이 같은 경우 마지 막 바퀴의 기록이 빠른 팀이 승자가 된다.
아. 메디슨 경기(Madison)
메디슨 경기는 시드니 올림픽에서 처음 채택된 경기종목으로 경기 방식은 포인트 경기와 유사하며, 다만 선수들이 각 팀 2명씩 출전하여 서로 교대하며 50km의 주파거리에 대해 중간 스프리트를 하는 경기종목이다. 이 경기는 333m 미만 트랙에서 최대 18개 팀, 333m 이상의 트랙에서는 최 대 20개 팀이 경기할 수 있으며, 곧바로 결승 경기로 치러진다. 각 팀의 두 선수들은 같은 배 번 호를 부착하며, 단 그 배번호의 색깔은 상이해야 한다. 각 팀의 첫 번째 주자는 스탠딩 스타트 로 출발하며 첫 구간을 주파한다. 각 팀의 두 선수 중 한 명의 선수가 경기를 하고 있는 동안 다른 한 선수는 트랙을 서서히 돌며 체력을 안배하고 경기 중인 선수가 지쳤다고 판단되면 동료선수 가 교대하여 준다. 이때 같은 팀이 한 선수가 동료 선수의 손이나 반바지를 터치하는 것으로 교대가 성립된다. 순위는 매 20바퀴마다 중간 스프린트를 하며 결승선 도착순서에 의해 1위 팀에 5 점, 2위 3점, 3위 2점, 4위 1점을 각각 부여하며, 최종 바퀴 후에 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팀이 우승하는 경기이다. 입상 순위는 각 팀에서 완전 주파한 바퀴 수에 따라 결정된다. 각 팀에서 주파한 거리가 같을 때는 득점한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만일 바퀴 수와 득점수가 같으면 중간 스프린트 1위의 횟수로 정하고, 그래도 또 같다면 2위, 3위, 4위 횟수로써 비교하며 최종적으로는 마지막 스프린트 골인 순서에 따라 결정한다.
자. 제외경기(Elimination)
이 종목 역시 사이클에서 스릴과 흥미를 느끼게 하는 종목 중 하나이다. 선수들은 결승선에 일직 선으로 집결한다. 선수들이 주행을 시작하여 정상 속도가 되고 그룹이 형성된 후 플라잉 스타트 로 출발한다. 333m 미만의 트랙에서는 매 2바퀴마다 스프린트(한 선수 제외)가 부여되고, 그 이 상의 트랙에서는 매 바퀴마다 스프린트(한 선수 제외)가 부여된다. 매 스프린트에서 제일 후미 선수의 뒷바퀴가 결승선에 걸쳐지는 순간, 그 선수는 제외된다. 그 선수는 즉시 트랙에서 내려와야 한다. 마지막 두 선수가 남으면 마지막 스프린트로 경기가 진행된다. 그들의 앞바퀴가 결승선에 위치하는 순간으로 등위가 판정된다. 그리고 한 선수가 한 바퀴를 추월하는 것은 계산되지 않는다. 이 경기의 구성은 특별 규정에 의해 관장된다.
차. 스크레치경기(Scratch)
이 경기는 최대36명의 개별 선수가은 10km(남자) 또는 7.5km(여자)를 주파하는 개인 경기로 개인이 주파한 거리로 순위를 결정하는 경기이다. 선수들은 정해진 선상에서 위치하고, 출발 심판은 호각으로써 플라잉 스타트를 신호 한 후, 다음 돌아오는 바퀴에서 총성으로서 경기의 시작을 알린다. 메인 그룹에서 추월당한 선수들 은 즉시 트랙에서 내려와야 한다. 몇 선수들이 메인 그룹보다 한 바퀴 앞섰다면, 마지막 스프린트 시 결승 심판에 의해 구별되어 순위가 주어져야 한다. 마지막 바퀴에는 타종을 울려 선수들에게 신호해 주어야 한다. 이 경기는 단순하면서도 속도감 있는 흥미로운 종목이다.
카. 개인도로경기(Individual Road)
이 종목을 육상으로 보면 마라톤에 해당하는 종목이다. 그만큼 열량 소모가 크고, 강한 심폐기능 을 요하는 종목이다. 개인도로경기는 올림픽에서는 주행거리를 남자 엘리트는 220~250km, 여자 엘리트는 100~140km 로 정해 놓고 있다. 이 경기는 일정거리를 정해 놓고 개인 선수만 참가시키는 도로경기를 말한다. 출전 선수가 일제 히 출발하여 결승선에 도착한 순서에 의해 등위가 결정된다. 선수 및 감독은 출발 서명 장소로 집결하여 출발 서명을 한 후 출발선에 모여 일제히 출발한다. 모든 선수는 음식, 음료수, 공구 및 부속품을 대여 또는 교환과 같은 사소한 서비스를 상호 지원 할 수 있다. 선수들은 경기 중 지정된 보급 장소에서 지정된 임원에 의해서나 소속 팀 차량에 의해 음식물을 보급을 받아 경기에 임할 수 있다. 보급품은 출발 50km 이내와 결승 20km 이내에서는 보급을 받을 수 없다. 또한, 최종 10km 코스 이내에서는 어떤 차량도 선수를 추월할 수 없다. 경기 중 기재 고장 시 선수는 소속 팀 기술 요 원 또는 중립차량으로부터 기재 고장 수리를 지원 받을 수 있다. 경기는 선수가 스프린트 시 자신이 선택한 주로로부터 이탈 또는 방해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며, 이때 상대 선수를 위험에 빠뜨리는 행위도 엄격하게 금지한다. 등위 분류는 항시 결승선 통과 순위에 따라 결정되며, 이때 사진 판독은 의무적이다. 결승선을 통과 시 그룹 내에 있는 선수는 동일한 기록 시간으로 간주된다.
타. 도로독주경기(Individual Time Trial)
개인독주경기는 안전하고 완전한 표시판이 설치된 코스에서 실시된다. 올림픽에서는 주행 거리는 남자 엘리트는 40~50km, 여자 엘리트는 20~30km 사이로 정해진다. 선수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출발한다. 그러나 이 시간 간격은 마지막으로 출발하는 선수들 간에는 증가될 수 있다. 출 발은 출발 대(Launching Ramp)에서 실행되며, 선수는 출발 대에 지탱되어 있다가 놓아져야 한다. 이때 선수를 밀어서는 안 되며, 동일한 사람이 모든 선수에게 같은 행동으로 붙잡아야 한다. 수행 차량은 선수의 10m 후방에서 수행해야하고 추월하거나 동일 선상까지 접근할 수 없지만, 기재 고 장시에는 선수와 차량이 정지한 가운데 고장 수리 지원이 제공될 수 있으며, 수행 차량은 타인에 게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 한 선수가 다른 선수에 의해 추월당하면 추월당한 선수는 선행 선수의 공기 후류(後流) 속에 서 선두에 나서거나 뒤따라 갈 수 없다. 결승선 통과 시간은 최소 10분의 1초에 가까운 시간까지 계시되어야 한다.
파. 크로스 컨츄리(Cross-Country)
지형의 기복이 심한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등의 지형을 배경으로 대부분 폐쇄된 산림도로나 시골 길이 경기장이 된다. 1966 미국 애틀란타 올림픽 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이 종목이다. 경기 코스에는 오르막과 내리막, 평지, 직선로와 굴곡이 골고루 섞여 있어, 산악자전거의 여러 가지 테크닉을 종합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좋은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코스는 지형과 기후 조건 에 구애됨이 없이 100% 자전거를 탈 수 있어야 한다.
하. 다운힐(Downhill)
경기 종목 중 가장 화려하고 인기가 높은 경기이다. 보통 경기는 대회 마지막 날에 치러지는데 이는 경기 중 선수가 부상을 입거나 자전거 고장으로 다른 경기에 나갈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생기기 때문이다. 3~4 Km 거리를 최고속도 80Km를 내고 3~5분에 내려오는 경기이며, 시간으로 순위를 결정합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1명의 선수가 2회에 걸쳐 경기를 하고, 2회 경기 중 가장 기록이 빠른 기록으로 승자를 결정할 수 도 있다. 산악자전거 경기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경기이므로 자칫 잘못하면 크게 다치는 경우도 있다. 다운힐을 위한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는 조금 다르다. 빠른 속도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도 록 하는 여러 가지 장치가 앞 뒤 모두 달려있다. 출전자도 오토바이 헬멧과 같이 머리 전체를 감싸는 헬멧을 착용하고 출전하며 팔, 다리, 어깨, 가슴, 등 온 몸에 보호대를 착용하고 출전한다.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 때에 따라서는 유리할 수도 있으므로 자전거의 설계도 경량화보다는 주 행 안정성에 더 치중한다.

4. 경기 규칙 및 종류

E.1 일반규정
선수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수 없다.
다른 선수들의 진로를 방해하는 행위
웃통을 벗고 사이클을 타는 행위
사이클 없이 앞으로 전진 하는 행위
E.1.1위험한 행위
선수들은 대회임원에 의해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을 경우 교통법규를 따라야 한다.
자신 또는 타 선수에게 위험을 주는 것으로 대회임원이 판단한 경우 해당선수는 실격되거나 경기장에게 퇴장된다.
E.1.2 사이클 검차
검차는 선수가 지적된 사항을 규정에 맞도록 시정할 수 있게 대회 당일 최소 48시간 전에 실시해야 한다.
E.2 드레프팅(뒤따르기)
E.2.1 일반규칙
단 엘리트, 주니어 선수의 경우, 드레프팅 규칙은 트라이애슬론, 듀애슬론 월드컵과 트라이애슬론, 듀애슬론 세계선수권에만 적용되지 않는다.
드레프팅규칙은 에이지그룹 대회나 장거리 트라애애슬론, 듀애슬론 세계선수권의 모든 그룹에 적용되고, 드레프팅 규칙은 엘리트와 주니어 선수들에게 적용할지 여부는 개최국의 권한에 속한다.
E.2.2 드레프 팅(뒤따르기) 허용되지 않는 대회
대회에서 아래와 같이 드레프팅 규칙(Drafting Rule)이 적용된다.
다른 선수나 모터가 달린 차량에 대한 드레프팅은 금지된다. 선수는 타선수에 의한 드레프팅 (Drafting) 시도를 거부해야만 한다.
선수가 다른 선수와의 접촉이 없이 먼저 그 위치를 선점했다면 선수는 자신이 차지한 코스의 어떤 위치에 대해서도 차지할 권한이 있다.
어떤 위치를 차지한 선수는 신체접촉이 없이 다른 선수가 움직일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을 허용해야만 한다.
적절한 공간은 반드시 추월하기 전에 있어야 한다.
어떤 위치에서 드레프팅의 이점을 이용하려고 접근하는 선수는 드레프팅을 피할 의무가 있다.
E.2.3
사이클 드레프트 영역(Bicycle Draft Zone) 선수는 다음의 상황에서 사이클 드레프팅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임원의 판결에 달려 있다.)
사이클 드레프팅 영역에 진입해 30초 내로 통과할 경우(에이지 그룹 선수들은 15초 이내)
안전상의 이유로
보급소
바꿈터의 입출구
급격한 커브구간
경기임원은 좁은 차선이나 건설현장, 우회로 또는 다른 안전을 이유로 코 스의 몇몇 지점들을 사이클 드레프팅 영역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E.2.5 추월의 정의
다른 선수의 앞바퀴가 자신의 사이클 앞바퀴보다 앞설 경우 드레프팅영역을 지난 것이 된다. 일단 추월된 선수는 즉시 추월한 선수의 드레프팅영역 밖으로 나가야 한다
E.2.6 차량 드레프트 영역(Vehicle Draft Zone)
오토바이는 코스에 진입이 허용되는 유일한 차량이다. 모든 오토바이 운전자, 대회임원, 취재진, 경기심판은 오토바이를 탄 경우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차량 드레프트 영역은 사이클 코스에 있는 한 차량을 둘러싼 길이35m 폭5m 의 직사각형이 된다. 차량의 앞바퀴가 폭5m의 중심을 결정한다.
선수는 차량 드레프트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 이 차량 드레프트 영역을 지키도록 하는 책임은 차량운전자와 차량통제요원에 있다. 코스에 모든 차량은 운영지침의 코스차량에 대한 규정에 의해 통제된다.(운영지침 J 코스차량 참조)
E.3 장비(Equipment)
사이클은 반드시 다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트라이애슬론 월드컵, 올림픽경기, ITU지역선수권, ITU국제대회, 듀애슬론 월드컵시리즈, 트라이애슬론, 듀애슬론 세계선수권에서 엘리트와 주니어 선수의 사이클의 길이는 2m 이내고, 폭은 50cm 이내여야 한다. 다른 모든 대회에서는 길이 2m 폭 75cm 이내여야 한다.
사이클 체인을 돌리는 톱니바퀴의 중심축은 지상에서 최소 24cm 떨어져야 한다.
안장의 뾰족한 맨 앞부분까지의 길이는 체인을 돌리는 톱니바퀴의 중심축을 기준하여 수평으로 5cm 이내여야 하고 안장의 맨 뒷부분까지 길이는 체인을 돌리는 톱니바퀴의 중심축을 기준하여 수평으로 15cm이내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선수는 경기 중에 이 안장의 길이를 변경해서는 안 된다. 앞바퀴의 중심축에서 체인을 돌리는 톱니바퀴의 중심축의 사이의 길이는 수평으로 54cm 이상 65cm 이내가 되어야 한다. (키가 작거나 큰 선수에게 예외는 있다.)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한 바람막이를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앞바퀴는 뒷바퀴와의 지름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살로 된 바퀴여야 한다. 살을 덮는 덮게는 뒷바퀴만이 허용된다. 이런 사항들은 안전상 이유로 ITU기술 감독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예를 들면 바람이 셀 경우)
바퀴에는 가속을 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허용되지 않는다.
자전거 핸들바의 끝은 반드시 고무로 덮여 있어야 하고, 타이어는 본드로 잘 붙어 있어야 하고, 해드세트(Headsets)는 느슨하지 않게 잘 조여 있어야 하고, 휠(바퀴)은 튼튼해야 한다.
앞, 뒷바퀴 모두 제동장치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보지 못한 특이한 자전거나 기구는 경기시작 전에 경기운영 본보장(Race director) 으로부터 사전 승인을 받지 않으면 불법이다.
E.3.2 헬멧
사이클에서 헬멧 착용은 의무사항이고 헬멧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검사공인기관에 품질인증을 받은 제품이어야 한다.
미국국립표준검사소(ANSIZ-90.4), 스넬기념재단(SNELL MEMORIAL FOUNDATION)
국립스웨덴 소비자정책이사회
E.3.3 헬멧 개조
헬멧의 어떤 부분이라도 개조는 허용되지 않는다. 헬멧은 반드시 선수가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 한 단단하게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이클 출발 시 자전거 걸이대에서 사이클을 내릴 때부터, 사이클을 끝내고 자전거 걸이대에 사이클을 다시 올려놓을 때까지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
E.3.4 경기장에서 헬멧 착용
사이클 경기에서 ITU경기일 7일 전에 승인된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선수들은 실격처리 되거나 벌금을 물게 된다.
E.3.5 불법기구(Illegal equipment)
유리로 된 용기, 헤드폰이나 마이크가 달린 헤드폰은 허용되지 않는다.
E.3.6 핸들바(Handlebars)
트라이애슬론 월드컵, 올림픽경기, ITU지역선수권, ITU국제대회에서 엘리트와 주니어 선수의 경우. 핸들바에 대한 다음의 규칙이 적용된다.
(주의: 이 규칙은 에이지그룹 대회나 장거리코스 경기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오직 기존의 드롭 핸들 바(Drop Handlebars)만이 허용된다.
헨들 바에 부착된 클립온(유바, Clip-ons)은 앞바퀴의 중심축을 앞으로 15cm 이상 넘지 않고 브레이크 손잡이의 맨 앞선 보다 길지 않으면 핸들바에 부착된 클립온는 허용된다.
일자로 곧게 뻗은 클립온(유바, Clip-ons)은 반드시 끝이 연결되어져 아치형을 이루고 있어 야 하고, 브레이크손잡이와 접히면서 앞으로 향해 있어서는 안 된다.
클립온(유바, Clip-ons)에는 앞으로 향하는 바(막대)나 기아변속기(Gear Shifters)가 장착 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오직 예외는 그립변환기(Grip Shifters)이다.
팔 받침대는 허용된다.